발간자료실
제목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2023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 -진로준비도의 교급별 시대별 경향 및 잠재유형 관련 요인 분석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4-05-23 05:49:01 | 조회수 | 303 |
첨부파일 |
다운로드 하기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2023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 -진로준비도의 교급별 시대별 경향 및 잠재유형 관련 요인 분석
저자 김윤희
공동저자 정윤미
발행일 2023-12-31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9
3. 연구내용 및 기대효과 11
1) 진로준비도 코호트 분석 11
2) 진로준비도 잠재집단분석 및 예측요인 탐색 11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의 진로발달 및 진로준비도 15
1) 청소년의 진로발달 15
2) 진로준비도 개념과 구성 요소 16
2. 진로준비도 관련 요인 19
3. 우리나라 청소년 진로교육 정책 동향 21
1) 우리나라 진로교육 정책 흐름 21
2) 우리나라 주요 진로교육 정책 24
4. 청소년 진로 고민과 대학 진학 기대 31
1) 청소년의 고민과 진학 선택 31
2) 학생과 부모가 기대하는 교육 수준 31
3) 학생과 부모가 대학 이상 교육받기를 바라는 이유 33
4) 대학과 학과 선택의 기준 34
5. 학교 진로교육 운영 현황 36
1) 학교 진로교육 예산 현황 36
2) 학교 진로교육 담당 조직 현황 37
3) 「진로와 직업」 과목 수업 운영 현황 38
4) 창의적 체험활동 내 진로활동 운영 현황 39
5) 교과 연계 진로교육 실시 현황 39
6) 진로심리검사 실시 및 진로상담 운영 현황 39
7) 진로체험 운영 현황 40
6. 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참여 현황 42
1) 학생의 학교 진로활동 참여율과 만족도 42
2) 학생의 학교 진로체험 유형별 참여율과 도움도 45
3) 학생의 창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체험 참여율 및만족도 47
Ⅲ. 연구 방법
1. 분석 자료 및 연구 대상 51
1) 분석자료 51
2) 연구대상 53
2. 분석 변인 55
1) 진로준비도 구성요인 55
2) 청소년의 개인 및 환경 변인(가정, 학교) 60
3. 분석 방법 63
1) 진로준비도 코호트 분석 63
2) 청소년의 진로준비도 잠재집단분석, 특성 차이 분석 및영향요인 탐색 63
Ⅳ. 연구 결과
1. 진로준비도 코호트 분석 69
1) KCYPS 2018 교급별 코호트 분석 69
2) KCYPS 2018 KYPS 2003 시대별 코호트 분석 78
2. 진로준비도 잠재유형 분석 및 영향요인 분석 89
1) 교육포부 및 직업달성 포부에 따른 진로준비도유형화 89
2) 진로준비도 유형별 주요 특성 95
3) 청소년의 진로준비도 유형 영향요인 116
Ⅴ. 논의
1. 주요 결과 및 시사점 125
1) 진로준비도 교급별 코호트 분석 125
2) 진로준비도 시대별 코호트 분석 128
3) 교육포부 및 직업달성 포부에 따른 진로준비도유형화 132
4) 진로준비도 유형별 주요 특성 - 중학생 133
5) 진로준비도 유형별 주요 특성 - 고등학생 138
6) 청소년의 진로준비도 유형 영향요인 탐색 144
2. 정책 제언 150
1) 학교 교육과정 내 진로교육 안착 지원 150
2) 경험 중심의 진로체험 내실화 150
3)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한 지역 진로교육 활성화방안 마련 151
4) 지속 가능한 진로교육 지원 151
3. 결론 152
참고문헌 157
부 록 167
Abstract 201
초록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5차년도(2022년) 자료를 활용하여 중고등학생의 진로준비도 교급 및 시대별 코호트 분석과 잠재집단 유형에 따른 특징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교급별 코호트 분석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진로준비도 차이를 살펴보았고, 시대별 코호트 분석은 한국청소년패널조사 2003의 자료를 활용하여, 과거와 현재 고등학생의 진로준비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진로준비도의 잠재집단유형에 따른 특징 분석은 먼저, 중학생과 고등학생 각각 진로준비도 잠재집단 유형 수를 확정하고, 이질적인 하위집단에 따라 개인·환경적 특성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각 집단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의 진로준비도의 특징을 교급별, 시대별, 그리고 잠재유형에 따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급별 코호트 분석결과, 중고등학생은 교육포부, 희망직업 선택요인, 직업체험 경험 등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반면, 희망직업 선택, 진로적응력, 진로준비 활동의 참여빈도 및 도움정도 등에서 교급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시대별 코호트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과거에 비해, 최근의 고등학생은 높은 교육수준을 희망하지만, 희망직업은 결정하지 못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직업가치 등 진로생각, 심리/적성 검사, 직업체험 등의 진로탐색, 아르바이트 등 진로 경험에서도 과거의 고등학생과 비교할 때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준비도 잠재집단분석 결과, 중고등학생 모두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진학 무관심형(교육포부 미결정, 낮은 직업달성포부)’, ‘진학 관심형(높은 교육포부, 희망직업 미결정)’, ‘진로관심형(높은 교육포부, 높은 직업달성포부)’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유형에 따라, 진로준비도의 유형에 따른 집단 간 개인·환경 요인의 차이와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들을 탐색한 결과, 개인, 가정, 학교, 그리고 진로 특성에서 ‘진로 관심형’이 전반적으로 가장 우수한 수준, ‘진학 무관심형’이 전반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진로준비도 유형별 예측 요인 탐색한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 특성 중 중고등학생의 부적응적 사회정서 측면이 높을수록 ‘진학 무관심형’, 가정 특성 중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진학 관심형’, 학교 특성 중 수도권에 위치하거나 교사와 긍정적 관계일수록 ‘진로 관심형’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특성에서는 높은 진로적응력, 어머니와의 높은 진로 관련 대화 빈도, ‘진로와 직업’ 수업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진로 관심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한편, 직업/진로 관련 체험활동 참여 횟수가 많은 경우 ‘진학 무관심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진로준비도 수준을 효율적으로 높이기 위해 청소년의 개인·환경적 특성 및 진로준비도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체계적인 진로준비를 위한 방안으로 1) 학교 교육과정 내 진로교육 안착을 위한 지원, 2) 경험 중심 진로체험의 내실화, 3)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한 지역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마련, 4) 지속가능한 진로교육 지원 등의 정책을 제안하였다.
출처: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https://nypi.re.kr/brdrr/boardrrView.do?menu_nix=4o9771b7&brd_id=BDIDX_PJk7xvf7L096m1g7Phd3YC&cont_idx=823&seltab_idx=0&edomweivgp=R